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분류 전체보기78

6편-참는 아이, 말하지 못한 감정 참는 마음 둘째 아이를 낳고 며칠 지나지 않아, 큰아이에게서 이상한 행동이 보이기 시작했습니다.작고 여린 입술을 꼭 깨물고 잠드는 모습.밤중에 살며시 들여다보면, 이를 악문 채 자고 있는 아이의 모습에 깜짝 놀라 손으로 조심히 아랫입술을 떼어주곤 했습니다.그때는 그저 "왜 저럴까?" 하는 의문만 있었고,아이의 마음이 어떤 상태인지, 그 입술에 얼마나 많은 말 못 할 감정이 담겨 있었는지는 미처 알지 못했습니다.엄마가 되었지만, 감정에 대해서도, 아이의 마음을 읽는 법도 몰랐던 그 시절.돌이켜보면 그 무지함이 제 아이의 마음에 작은 상처를 남겼던 건 아닐까 싶습니다.1. 감정은 말해지지 못한 채 입술에 맺혀 있었다그 아이는 말을 하지 않았습니다.표현하지 못했기에, 감정을 숨기고, 참는 방법으로 자신의 불안.. 2025. 4. 1.
5편- 한국 사회, 왜 ‘분노’가 늘고 있을까? 2025년 한국사회, 왜 ‘분노’가 늘고 있을까? – 통계와 사회현상 분석2025년 대한민국. 우리는 왜 이토록 자주 분노하는 걸까요?최근 보건복지부 산하 국립정신건강센터의 발표에 따르면, 국민 10명 중 3명이 일상 속 분노를 자주 느낀다고 답했습니다. 특히 20~40대에서 “사소한 일에도 화가 난다”는 응답이 급증했으며, 이는 코로나19 이후 장기적인 사회 불안과 경제 불균형, 고용 불안, 관계 단절 등 복합적인 원인과 관련이 깊습니다.1. 통계로 본 한국인의 감정 상태2024년 기준, 국내에서 우울·불안 진단을 받은 인구는 전체의 18%를 넘었고, 분노 조절 장애 관련 상담 건수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. 이는 단순한 감정 문제가 아닌, 억눌린 피로와 불안을 뚫고 나오는 ‘감정의 폭발’로 해석할 .. 2025. 3. 31.
4편-아이를 향한 첫 질문 ​― 아이를 향한 첫 질문 ―​조용하던 센터가 어느새 웅성웅성 소란스러워졌습니다.다들 이미 알고 있었던 이야기,그런데 정작 책임자인 나만 모르고 있었다는 사실.그 순간, 가슴 안쪽이 싸늘해졌습니다.​아이 몇 명이 무인마켓에서 물건을 그냥 들고 나왔다는 이야기.그것도 한두 번이 아니라 여러 번.​“그냥 들고 나오기엔… 나이가 좀 있는 아이들인데요.”누군가 말했습니다.​마침내 마켓 주인 사장님이 신고를 했고,보호자를 불러 이야기하고, 책임을 묻고, 배상도 이루어졌습니다.이미 모든 절차는 마무리된 상황이었지요.​그리고 나는…그 모든 일이 지나간 후에야 겨우 알게 되었습니다.​무언가가 마음 깊숙한 곳에서 톡 하고 터졌습니다.섭섭함인지, 책임감인지 모를 한숨이 조용히 배어 나왔습니다.​“그래도… 아이를 데려다가 .. 2025. 3. 28.
3편- 우리를 슬프게 하는것들! 우리를 슬프게 하는것들!아침, 딸의 친구 소식을 들었습니다.그 친구의 남편은 긴 암투병 끝에…결국 하늘의 별이 되었습니다.아직은 이른 나이,아직 하고픈 일들이 많았던 나이인데…안녕이라는 그 흔한 말도 해주지 못했는데...​며칠 전,싱크홀 사고로 갑작스레 가족을 잃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접했습니다.아들을, 남편을, 아버지를…그 황망한 상실 속에서무너져 내리는 마음을 누가 다 알 수 있을까요.또, 대형 산불로 집을 잃고산속의 동물들과 나무들을 잃은 이웃들의 소식도 전해졌습니다.그들 역시아들을, 남편을, 아버지를… 잃었습니다.이런 아픔들을 마주할 때면,가슴 한편에 조용한 바램이 남습니다.조금만… 아주 조금만이라도눈길을 주었더라면,살펴보았더라면,지킬 수 있지 않았을까… 하는 마음.​오늘 무심코 스치는 눈빛속에서도.. 2025. 3. 28.
2편- 감정을 솔직히 말하는 연습 “애들아, 안녕! 오늘도 선생님과 잠깐 얘기 좀 해볼까?”언제나처럼 아이들에게 따뜻하게 인사를 건넸다. 아이들의 눈을 바라보며 천천히 한마디 덧붙였다.“그런데 오늘 선생님이 왜 불렀을까~?”농담처럼 툭 던진 말이었지만, 그 순간 조용하던 분위기 속에서 한 아이가 조심스럽게 손을 들었다. 말할까 말까 망설이던 눈빛. 나는 고개를 끄덕이며 다정히 물었다.“그래, 무슨 이야기 하고 싶니?”그 아이는 옆에 앉은 1살 많은 언니의 눈치를 살피며 입을 열었다.“선생님… 저 고백할 게 있어요.”나는 잠시 숨을 고르고 아이의 눈을 바라보았다. 아이는 작은 목소리로 말을 이었다.“제가요… 사실 00이 인형을 두 번이나 감췄고요, 어제는 안경을 00이 가방에서 꺼내서 다른 친구 가방에 넣었어요…”그 말에 나는 놀라기보다,.. 2025. 3. 28.
1편 -감정을 억누르는 사람들 나만 참으면 되지? 감정을 억누르는 사람들나만 참으면 되지? 가 위험한 이유 – 감정 억압의 심리학적 부작용 1. 감정을 억누르는 사람들한국인 절반 이상이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지 못한다고 말합니다.한 조사에 따르면, “불편한 감정을 말하기보다 참는다”고 답한 사람이 60%를 넘었죠.그 이유는 다양합니다:타인의 시선을 의식하거나갈등을 피하려는 경향‘좋은 사람’이라는 이미지를 지키고 싶은 마음이런 태도는 겉으로는 평화를 유지하는 듯하지만, 심리적·신체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. 2. 감정 억압은 신체에 스트레스로 누적됩니다.심리학자 다니엘 웨그너는 ‘백곰 효과’ 실험에서 억제하려는 감정이나 생각이 오히려 더 강해진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.감정을 억누르는 것은 뇌와 신체에 지속적인 긴장 상태를 유발.. 2025. 3. 28.
반응형